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파주와 철원 인근 지역의 민심이 희망으로 들뜨고 있다. 그간 이들 지역은 DMZ 근처라는 이유로 개발이 제한되고 위험지역으로 인식됐다. 당연히 청년들은 고향을 등졌고 그곳에 남은 사람들은 늘 불안한 마음이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이들 지역을 ‘통일경제특구’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밝힘에 따라서 향후 이 지역에 대한 개발이 가시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향후 이들 지역은 ‘통일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보여 산업과 관광 분야에서 있어서 획기적인 발전이 예상된다.
위험지역에서 ‘핫 플레이스’로
파주는 두 가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잘 정비된 신도시라는 점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 북측과 가까운 파평, 적성 등의 지역에는 제대로 된 기업도 없고 개발도 진행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한마디로 ‘황무지’에 가까웠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남북의 긴장이 고조되면 이들 지역 주민들은 하루하루 불안에 떨어야만 했다. 하지만 남북한의 화해가 이뤄지고 향후 평화가 지속될 경우, 이들 지역은 현재 남한 내에서도 가장 ‘핫 플레이스’가 되는 것도 시간문제일 뿐이다. 무엇보다 개성공단이 재개될 경우 파주에는 ‘개성공단지원 복합물류센터’가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총 1,200억 원의 사업비로 대규모 부지 조성이 이뤄지기 때문에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철원 지역의 발전이 기대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특히 철원 지역의 경우 남북한 육로의 핵심지역이 될 것이기 때문에 도시 개발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개발의 결과 ‘역세권’이 형성될 경우,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지역발전을 기대할 수도 있다. 더불어 문재인 대통령은 ‘철원평화산업단지’도 언급했다. 이곳에 개발된 단지에 북한 근로자들이 출근해서 일할 수도 있다. 이는 곧 ‘남한에 있는 개성공단’이라는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부동산 과열 우려도 있어
사실 이러한 사업은 이미 10년이 훨씬 넘은 지난 2006년부터 추진됐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남북 관계가 악화되고 이미 가동되고 있던 개성공단까지 폐쇄된 마당에 장기표류하지 않을 수 없었다.
더불어 파주 철원에 이어 고양시까지 새로운 기대를 하고 있다. 이참에 통일경제특구법을 제정해서 ‘평화경제특별시’로 급부상하겠다는 계획이다. 물론 이들 지역에 대한 ‘과열 현상’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 지역에는 이미 곳곳에 컨테이너 박스들이 들어서면서 부동산 상담 등이 이뤄지고 있다. 자칫하면 향후 지나친 부동산 투기로 인해 땅값이 생각 이상으로 올라갈 수 있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 민통성과 맞닿아 있는 대마리의 경우 이미 전체 부지의 70%가 외지인에게 팔려갔다는 이야기까지 있을 정도다. 따라서 남북경협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향후 땅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것에 대한 우려도 없지 않다. 무엇보다 지난 4·27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미 한차례 투기 바람이 지나갔다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정부에서는 본격적인 관리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