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따른 지역 업체 피해예방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일본 수출규제 지역업체 피해예방 실무 준비회의'를 개최했음을 31일 밝혔다.
이 실무준비팀은 대전시(기업창업지원과), 경제단체에 소속인 대전상공회의소,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융합대전충남연합회,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한국무역협회대전충남지회와 대전경젱통상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인 4개의 출연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실무회의를 마련한 것은 8월 2일에 이뤄질 일본 각의 결정에 따른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이 제외될 경우 수출규제로 인해 발생할 문제 및 우려가 전 산업으로 확대되는것의 불가피성과 함께 경제단체 및 출연기관의 협조를 받아 지역 중소(견)기업에 대한 피해(예상)기업 전수조사 및 대전시의 지원 요청사항 등을 제출받아 시 차원의 대책준비를 추진중에 있다.
이번 전수조사 대상으론 화이트리스트 대상품목을 제조하는 대(중견)기업 에 부품을 제조 및 납품하느 지역중소(견)기업과 이에 준하는 간접적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견)기업들이다.
8월 2일 일본 각의결정을 통해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예정대로 확정될 경우 대전시는 행정부시장 주재로 매주 1회, "일본 수출규제 대응 TFT" 구성 운영하는 등 대전경제 비상체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전수조사완 별도로 관내 피해기업을 위해 상시피해접수 창구운영, 긴급 구매조건 생산자금 및 경영안전자금 배정, 관련부품소재 R&D지원, 국산화 개발연구 개발 지원시책 강화등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화이트리스트가 예정대로 제외될 경우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들론 평판DP 제조용 기계, 플라스틱제의 기타접착성판, 감뫙선반도체디바이스, 반도체디바이스나 전자집적회로용기계, 프로세서와 컨트롤러, 렌즈관련 부분품과 부속품등 총 767개의 품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반도체에 연관되는 품목들인만큼 예정대로 제외될 경우 국산화 또는 대체제를 찾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