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 설립된 ‘봉남 미술관’을 뛰어넘어 전 세계에 작품세계를 전파하고 싶습니다”
“이 시대에 이런 인물이 있다는 것이 한국인으로서 자랑스럽다고 느꼈다. 서봉남은 우리에게 희망을 주는 사람이다.”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서봉남 화백을 평한 말이다. 김 교수의 이러한 한마디에서 서 화백의 인물 됨됨이를 알 수가 있다. 지난 50년간 미술이라는 한길만 걸었을 뿐만 아니라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의 성화(聖畫) 77점을 남긴 서봉남 화백. 그는 또 무려 27년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아내의 투병 생활을 묵묵히 뒷바라지하기도 했다. 그의 삶 자체가 많은 이의 존경과 모범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서 화백의 화업 50주년을 기념한 초대전 ‘개구쟁이 이야기가 있는 풍경’이 지난 4월 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종로구 소재 장은선갤러리에서 열렸다. 그 스스로의 표현에 의하면 ‘인생의 결론기’를 살아가고 있다는 서 화백을 만나 그의 작품 세계와 지난 50년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었다. 20대 후반에 등단, ‘동심 작가’로 이름 알려 서봉남 화백은 우리나라 미술계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특히 기독교 미술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77점의 성화는 물론이고 30년 전에 한국 기독교 100년을 기념한 대작, ‘영광’을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