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트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지난 3월 12일 미스터트롯의 결승전 시청률은 35.7%, 문자투표에는 773만 명이 참가했다. 4‧15 총선에서 역대 최고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할 당시 참여인원이 1110만 명이었다.

최근 젊은 세대가 처한 사회, 경제적인 상황이다. 미래가 보이지 않는 암울함, 매일 힘들게 살아가야 하는 상황에서 트로트가 주는 마음의 위안은 잠시 시름을 잊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트로트 경연의 1등을 뽑는 순간에 이 정도의 국민이 참여했고 이 트로트 열풍의 주인이 20~30대라는 점이다. 트로트와는 전혀 연관이 없어 보이던 새로운 세대의 등장은 도대체 왜 젊은 세대는 트로트에 열광하는 것일까라는 문제를 던진다.

TV조선의 미스트롯‧미스터트롯, MBC에브리원 나는 트로트 가수다, SBS의 트롯신이 떴다 등이 트로트 확산에 채찍을 가했다. 경연 프로그램에 등장한 신예들이 각종 예능에 출연하면서 그 인기를 이어나가 어김없이 시청률이 상승한다.

트로트는 이제 우리나라 음악 장르에서 당당히 주류가 되었고, 또한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변치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대세이다.

최근의 트로트는 구성지고 애잔한 가사에 화려한 편곡이 과거의 ‘트로트 때깔’은 완전히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무대 구성과 춤은 아이돌 급으로 완성됐다.

이는 젊은 세대들에게 ‘트로트’라기 보다는 ‘새로운 음악 장르’로 다가갔다. 어렸을 때부터 트로트에 노출이 자주 되지 않았던 젊은 세대에게 트로트는 매우 신선하게 다가온 것이다.

최근 등장한 트로트 가수들은 20대~30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이돌 못지않게 외모와 댄스 실력, 무대매너, 끼가 철철 넘치는 모습은 트로트를 완전히 다른 음악으로 만들어 놓았다.

‘도대체 어디서 이 많은 젊은 트로트 가수가 한꺼번에 쏟아진 것인가’라는 의문을 자아낸다. 이들은 다양한 층과의 소통에도 적극적이고, 매우 빠르고 유연하다. 각종 SNS를 통해서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드러내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팬층을 관리하고 있다.

트로트는 자녀를 위해 희생했지만, 사회에서 소외된 중장년과 노년의 감성도 적극 자극했다. ‘이제는 나를 위해 소비하겠다’라는 적극적인 자기 배려의 의식이 강화되면서 트로트 음원 구입 등에 아낌없이 돈을 쓰고 있다. 결국, 무언가가 이 사회에서 ‘트렌드’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소비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중장년, 노년층의 이러한 소비는 트렌드를 밑받침하는 적극적인 계기가 되고 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이들 아이돌 트로트 가수들이 기성 가수들과 함께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이다. 각종 예능에 출연하는 이들은 장윤정, 홍진영, 박현빈, 남진, 김연자 등과 함께 출연해 ‘신구 세대’의 친밀함을 과시하고 있다. 이는 트로트 시장 전체를 발전시키는 하나의 동력이 되고 있다. 트로트 아이돌이 ‘따로’ 노는 것이 아니라 선배들과 함께 출연하고 친밀함을 보이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훈훈함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의 트로트 열풍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일단 각 지상파 방송사들이 지나치게 경쟁적으로 프로그램을 따라 하는 경우가 많고, 단기적으로 트로트 아이돌의 이미지를 소비하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 이제 그 신선함이 고갈되고 재미가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폭발적인 인기’는 곧 급격하게 그 인기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은 트로트를 다루는 방송 프로그램 역시 그 수가 줄어들면 자연스레 대중적인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