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급전 방식, 철도차량 주행 및 정차 중 무선으로 전력 공급
터널 단면적 감소…공사비 절감, 역사 위치 선정 제약 사항 완화 등 이점

▲ 무선급전시스템 적용 시 장점 및 기대효과 (자료=국토교통부)
▲ 무선급전시스템 적용 시 장점 및 기대효과 (자료=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지난 7일 오후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화상회의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국제표준화기구(IEC) 산하 철도기술위원회(TC9) 철도무선급전시스템 임시작업그룹(AHG, Ad Hoc 그룹) 회원국인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중국, 일본, 한국(국토부·철기연·과기부 담당자) 등 6개국 철도 무선급전 기술 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국제표준화 회의에 대해 국토부는 "우리나라가 2018년 12월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AHG 과제로 지난해 말 채택된 이후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실무회의"라고 설명했다.

AHG 과제로 채택되려면 제안된 과제에 대해 기술위원회 정회원국 다수결의 찬성과 3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표준화 작업에 직접 참여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AHG에서 마련한 표준(안)은 회원국 의견수렴 및 보완 과정을 거치게 되고, 최종표준(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거쳐 3분의 2 이상이 찬성했을 때 최종 승인·발행된다. 이번 회의는 한국이 제안한 ‘철도 무선급전 시스템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 관련 국제표준(안)’에 대해 국제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철도시스템은 그동안 가선을 통해서만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는 전차선 급전방식이었는데, 무선 급전(Wireless power transfer) 방식은 철도차량이 주행 또는 정차 중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해 준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려는 무선급전시스템은 전차선 급전에 비해 감전 사고위험 제거, 도시미관 향상 등 장점이 있으며, 가선 방식에 비해 전차선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터널 단면적 감소로 인한 공사비 절감 ▲역사 위치 선정에 있어서의 제약 사항 완화 등의 이점도 있다.

정부는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무선급전시스템 국제표준(안)을 기반으로 국내 활용도를 점진적으로 늘릴 방침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철도 주행 중 무선급전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을 위한 코일방식(무선급전의 핵심 매개체)’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으며, 한국은 타원형코일방식을 제안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국이 제안한 타원형 코일방식으로 무선급전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원형 코일방식보다 비용을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어, 참가국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고, 이와 관련해 적극적인 의견 교환을 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