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AI시대 인력양성과제 보고서' 발간..."AI 대체 일자리 60%가 전문직"

AI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며 보다 편리한 생활환경을 제공하지만, 사람의 일자리를 대거 빼앗아갈 것으로 보고서과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AI기술이 빠르게 진화하며 보다 편리한 생활환경을 제공하지만, 사람의 일자리를 대거 빼앗아갈 것으로 보고서과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간단히 처리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사람을 대체하며 많은 일자리를 찬탈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의 높다.

이런 가운데 AI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앞으로 대한민국에서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약 13% 수준인 327만개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더욱이 AI가 대체할 수 있는 일자리의 60%가 전문 직종에 집중될 것이란 분석이다. 즉, 전문직 일자리 196만2천개가 사라질 위험에 놓여있다는 의미이다.
 
산업연구원은 13일 내놓은 'AI시대 본격화에 대비한 산업인력양성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기업의 AI 도입률은 4%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2022년말 등장한 오픈AI의 생성형 AI챗봇 '챗GPT' 등과 AI의 학습, 추론 등의 성능 향상 속도를 고려할 때 본격적인 AI시대가 예상보다 빠르게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연구원이 AI 노출지수를 활용한 미래 일자리 소멸 위험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국내 전체 일자리의 13.1%인 327만개가 AI로 인해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류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93만개로 가장 많고 건설업(51만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6만개), 정보통신업(41만개) 등의 순으로 AI 대체 가능 일자리가 많게 나타났다.
 
제조업의 경우 과거의 단순히 힘든 일을 대체하는 산업용 로봇을 넘어 개발, 생산, 물류, 출하 등 전 부문에 걸쳐 AI와 AI로봇으로 빠르게 대체되는 추세다.
직종별로는 전문 직종일 수록 AI 대체 가능 일자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직종은 AI로 인해 사라질 전체 일자리의 약 60%(59.9%)인 196만2천개가 에 집중됐다.
 
전문직을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공학 전문가 및 정보통신 전문가의 비중이 높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5만개)와 정보통신업(38만개)이 총 83만개로 전체의 42.3% 달한다.
 
초거대 AI의 특성상 컴퓨팅 연산 처리 기능이 탁월하기 때문에 IT와 과학기술서비스 업종일 수록 AI에 일자리를 넘겨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방증이다.
 
실제 글로벌 IT기업 IBM은 지난해 8월 향후 8천개의 일자리를 AI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IBM은 지난해 1월 실적 발표에선 3900명의 직원을 줄일 것이라고 발표, AI로 대체가 시작된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건설업(43만개), 제조업(37만개) 등의 전문직 일자리의 대체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추정됐다.
 
이번 연구에선 특히 금융업의 경우 일자리 소멸 위험군의 99.1%가 경영·금융전문가 직종에 몰려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AI가 그만큼 재무, 통계 등의 영역에서 높은 정확도와 빠른 처리속도를 자랑한다는 얘기다.
 
송단비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AI의 노동 대체 양상은 과거 로봇이 생산직 일자리를 대체한 것과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며 "AI가 이미 석·박사급 개발인력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노동 수요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직종별 인공지능·소프트웨어·로봇 노출지수. 자료=산업연구원
직종별 인공지능·소프트웨어·로봇 노출지수. 자료=산업연구원

보고서는 AI 도입 초기에는 AI 활용에 따른 고용 대체 효과보다 AI 도입에 필요한 개발 인력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며 현재 한국은 AI 관련 고학력·전문 연구개발 인재 육성이 당면 과제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AI 혁신을 선도하는 미국이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민간을 중심으로 인력 양성에 매진하고 있고, 중국은 국가 주도로 고급 AI 인재 양성에 집중하는 등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정부의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민간 투자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실제 지난달 '글로벌 AI인덱스'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AI 경쟁력은 세계 6위이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정부 전략이 6위, 인력 12위, 민간투자 18위로, 정부 정책보다 민간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열세를 보이고 있다.
 
송 부연구위원은 "AI가 고학력·고임금 일자리인 전문가 직종까지 다수의 노동력을 대체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 미래 일자리 소멸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학제 정비 및 해외인력 유치, 민간 투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등 정책 지원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